Git에서 --옵션과 파일/경로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는 Git 명령어에서 옵션(예: -b, -m)과 파일명을 명확히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설명: git checkout -- file.txt

 

이 명령어는 file.txt 파일을 최신 커밋 상태로 복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워킹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수정했을 경우, 그 파일을 변경 전 상태(현재 브랜치의 마지막 커밋)로 되돌립니다.

 

의미:

1. -- 앞: Git 명령과 옵션이 올 수 있습니다.

여기서 checkout은 특정 브랜치로 이동하거나 파일을 복원하는 명령입니다.

2. -- 뒤: 파일이나 경로를 지정합니다.

file.txt라는 특정 파일이 대상입니다.

 

왜 --가 필요할까?

Git은 checkout 뒤에 오는 내용을 파일로 볼지 브랜치 이름으로 볼지 혼동할 수 있습니다.

--를 사용하면, Git이 file.txt를 브랜치가 아닌 파일로 인식하도록 명확히 알려줍니다.

 

예제:

1. 파일 복원하기 (변경 사항 삭제):

 

git checkout -- file.txt

 

file.txt의 워킹 디렉토리 수정 내용을 삭제하고, 마지막 커밋 상태로 되돌립니다.

 

2. 브랜치로 체크아웃 (다른 브랜치로 전환):

 

git checkout main

 

main은 브랜치 이름으로 인식됩니다.

 

3. 혼동 방지:

 

git checkout my-branch

 

Git은 my-branch가 브랜치인지 파일인지 모를 수 있습니다.

--를 사용하여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git checkout -- my-branch

 

여기서 my-branch는 파일로 간주됩니다.

 

정리:

--는 옵션과 파일/경로를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브랜치 이름과 파일 이름이 겹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git checkout -- file.txt파일을 변경 전 상태로 복원합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commit을 한 이후에 진행해야 하는 작업  (0) 2025.01.02
[git] commit 메시지 규칙  (0) 2025.01.01
[git] 주요 커맨드  (0) 2025.01.01

Git에서 커밋을 한 이후, 상황에 따라 다음 작업들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커밋 후 수행하는 작업들입니다:

 

1.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푸시 (Push)

 

로컬 커밋을 원격 저장소로 푸시하여 다른 팀원과 변경 사항을 공유합니다.

 

git push origin <branch-name>

 

예:

 

git push origin main

 

참고:

만약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한 후 처음 푸시하는 경우:

 

git push --set-upstream origin <branch-name>

 

2. 코드 리뷰 요청 (Pull Request / Merge Request)

 

팀에서 협업 중이라면 Pull Request (PR) 또는 **Merge Request (MR)**를 생성하여 코드 리뷰를 요청합니다.

변경 사항을 설명하고, 리뷰어가 필요한 경우 추가 정보를 제공하세요.

GitHub, GitLab, Bitbucket 등의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3. 테스트 (Test)

 

커밋한 코드가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합니다.

로컬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유닛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npm test       # Node.js 프로젝트 예시

python -m unittest discover # Python 프로젝트 예시

 

CI/CD 파이프라인 확인: 원격 저장소에 푸시한 후, CI/CD가 설정되어 있다면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

 

4. 코드 병합 (Merge)

 

병합할 준비가 되었다면, 브랜치를 메인 브랜치에 병합합니다.

병합 전에 메인 브랜치 최신 상태로 리베이스하거나 병합하여 충돌을 해결하세요.

 

git checkout main

git pull origin main

git merge <branch-name>

 

리베이스 예시:

 

git checkout <branch-name>

git fetch origin main

git rebase origin/main

 

5. 릴리즈 작업 (Release)

 

커밋한 변경 사항이 완료되고 배포할 준비가 되었다면:

1. 버전 태그 생성: 새로운 버전 태그를 추가합니다.

 

git tag -a v1.0.0 -m "Release version 1.0.0"

git push origin v1.0.0

 

2. 배포: CI/CD 파이프라인이나 수동 배포 도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합니다.

 

6. 추가적인 정리 작업

Stash 저장소 확인: 필요 없는 변경 사항이 남아있는지 확인하세요.

 

git stash list

git stash drop

 

브랜치 삭제: 병합 완료 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브랜치를 삭제합니다.

 

git branch -d <branch-name>

git push origin --delete <branch-name>

 

7. 팀원들과 소통

 

커밋과 관련된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팀원들에게 Slack, 이메일, Jira 등의 툴을 통해 변경 사항을 공유하세요.

중요한 변경 사항은 문서화(예: README, CHANGELOG)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 과정을 따르면 커밋 후 작업이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옵션과 파일 경로를 구분하는 -- 표시 팁  (0) 2025.01.04
[git] commit 메시지 규칙  (0) 2025.01.01
[git] 주요 커맨드  (0) 2025.01.01

Git 커밋 메시지를 작성할 때는 일관성과 가독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Git 커밋 메시지 작성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메시지 구조

 

커밋 메시지는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제목 (Title): 한 줄로 요약 (50자 이내 권장)

본문 (Body): 변경 사항에 대한 상세 설명 (선택 사항, 72자 줄바꿈 권장)

푸터 (Footer): 관련된 이슈 번호나 참고 정보 (선택 사항)

 

예시:

 

<타입>: <짧고 명확한 제목>

 

<본문: 변경 사항의 이유, 배경, 자세한 설명>

<필요시 푸터: 이슈 참조 또는 부가 정보>

 

2. 제목 작성 규칙

명령문 형태로 작성하세요. (예: “Add”, “Fix”, “Update” 등)

나쁜 예: “Added new feature”

좋은 예: “Add new feature”

첫 글자는 대문자로 시작하세요.

마침표는 생략하세요.

50자를 넘지 않도록 간결하게 작성하세요.

 

3. 타입 사용 (Type)

 

커밋 메시지에 타입을 명시하면 커밋 목적이 더 명확해집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입들입니다: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fix: 버그 수정

docs: 문서 수정

style: 코드 스타일 변경 (기능에 영향 없는 변경)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기능 변경 없음)

test: 테스트 추가 또는 수정

chore: 빌드 프로세스나 설정 관련 작업

 

예:

 

feat: Add user authentication feature

fix: Correct typo in login error message

docs: Update README with setup instructions

 

4. 본문 작성 규칙 (선택 사항)

본문은 ‘무엇을’, ‘왜’ 변경했는지 설명합니다.

간결하지만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담으세요.

한 줄에 72자를 넘지 않도록 작성하세요.

 

예:

 

fix: Resolve crash on login button click

 

The app was crashing when the login button was clicked due to 

a null pointer exception. Added a null check to prevent this issue.

 

5. 푸터 작성 규칙 (선택 사항)

관련된 이슈 번호를 언급하세요.

이슈 참조 형식: Refs #123 또는 Fixes #123

Fixes를 사용하면 해당 커밋으로 이슈가 자동으로 닫힙니다.

 

예:

 

fix: Handle API timeout error gracefully

 

Improved error handling for API timeouts by adding a retry 

mechanism. This prevents the app from freezing during long requests.

 

Fixes #456

 

6. 일관성 유지

팀에서 사용하는 규칙이 있다면 반드시 따르세요.

여러 사람이 협업할 때는 일관성 있는 메시지 스타일이 가독성을 높입니다.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소스 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Git의 주요 명령어들을 이해하면 기본적인 작업과 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요 커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설정 관련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사용자 이름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email@example.com"

사용자 이메일 설정.

git config --list

현재 설정 확인.

 

2. 저장소 초기화 및 클론

git init

현재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

git clone <repository_url>

원격 저장소를 로컬로 복제.

 

3. 파일 상태 확인

git status

파일의 상태 확인(수정됨, 추가됨, 삭제됨 등).

git diff

수정된 내용 확인.

 

4. 파일 추가 및 커밋

git add <file>

특정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git add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변경 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git commit -m "Commit message"

스테이징 영역의 변경 사항을 커밋.

git commit --amend

마지막 커밋 메시지를 수정.

 

5. 브랜치 관리

git branch

현재 브랜치 목록 확인.

git branch <branch_name>

새로운 브랜치 생성.

git checkout <branch_name>

특정 브랜치로 전환.

git checkout -b <branch_name>

브랜치를 생성하고 바로 전환.

git branch -d <branch_name>

브랜치 삭제.

 

6. 병합 및 충돌 해결

git merge <branch_name>

다른 브랜치를 현재 브랜치로 병합.

충돌 발생 시:

충돌 파일을 수정하고 git addgit commit.

 

7. 원격 저장소 작업

git remote add origin <repository_url>

원격 저장소 추가.

git push origin <branch_name>

로컬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에 푸시.

git pull origin <branch_name>

원격 저장소에서 변경 사항을 가져와 병합.

git fetch

원격 저장소의 최신 상태를 로컬로 가져옴(병합은 아님).

 

8. 로그 및 히스토리 확인

git log

커밋 로그 확인.

git log --oneline

간단한 형식으로 커밋 로그 확인.

git show <commit_hash>

특정 커밋의 상세 정보 확인.

 

9. 파일 복구 및 되돌리기

git checkout -- <file>

수정된 파일을 마지막 커밋 상태로 되돌림.

git reset <file>

스테이징 영역에서 파일 제거.

git reset --hard <commit_hash>

특정 커밋 상태로 되돌림.

 

10. 태그 관리

git tag <tag_name>

태그 생성.

git tag

태그 목록 확인.

git push origin <tag_name>

태그 푸시.

 

 

Pandas의 melt 메서드는 데이터프레임을 길게(long format)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열(column)을 행(row)으로 “녹이는” 방식으로, 데이터 분석이나 시각화를 위해 데이터 구조를 재구성할 때 유용합니다.

 

주요 매개변수

id_vars: 녹이지 않을 열을 지정합니다. 이 열들은 결과 데이터프레임에서 고정된 열로 유지됩니다.

value_vars: 녹일 열을 지정합니다. 지정된 열들은 행으로 변환됩니다. 기본값은 나머지 모든 열입니다.

var_name: 녹여진 열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variable'입니다.

value_name: 녹여진 값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value'입니다.

 

사용 목적

데이터를 wide format에서 long format으로 변환

시각화 라이브러리(e.g., Seaborn, Matplotlib)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

데이터 정리와 조작

 

예제 코드

 

다음과 같은 데이터프레임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import pandas as pd

 

# 샘플 데이터프레임 생성

df = pd.DataFrame({

    'Name': ['Alice', 'Bob', 'Charlie'],

    'Math': [85, 78, 92],

    'Science': [88, 89, 94],

    'English': [90, 80, 85]

})

 

print("원본 데이터프레임:")

print(df)

 

출력:

 

      Name  Math  Science  English

0    Alice    85       88       90

1      Bob    78       89       80

2  Charlie    92       94       85

 

데이터프레임을 melt 사용해 변환

 

# melt 메서드 사용

melted_df = pd.melt(df, id_vars=['Name'], value_vars=['Math', 'Science', 'English'],

                    var_name='Subject', value_name='Score')

 

print("\nMelt 메서드로 변환된 데이터프레임:")

print(melted_df)

 

출력:

 

      Name   Subject  Score

0    Alice      Math     85

1      Bob      Math     78

2  Charlie      Math     92

3    Alice   Science     88

4      Bob   Science     89

5  Charlie   Science     94

6    Alice   English     90

7      Bob   English     80

8  Charlie   English     85

 

설명

1. id_vars=['Name']: Name 열은 고정되어 녹지 않습니다.

2. value_vars=['Math', 'Science', 'English']: 이 열들이 녹여져서 Subject 열로 변환됩니다.

3. var_name='Subject': 녹여진 열의 이름이 Subject가 됩니다.

4. value_name='Score': 값의 열 이름이 Score가 됩니다.

 

요약

 

melt 메서드는 데이터를 깔끔한 형태로 재구성해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

설치

pip install [package name]

 

삭제

pip uninstall [package name]

 

업데이트

pip upgrade [package name]

 

설치된 패키지 목록

pip list

 

패키지 정보 확인

pip show [package name]

'[Lang]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untry code로 timezone 구하기  (0) 2016.11.09
python에서 switch/case 처럼 쓰기  (0) 2016.09.07



http://www.mojohaus.org/build-helper-maven-plugin/



참고: http://spark.apache.org/docs/1.6.2/sql-programming-guide.html


// sc is an existing SparkContext.
val sqlContext = new org.apache.spark.sql.SQLContext(sc)
// this is used to implicitly convert an RDD to a DataFrame.
import sqlContext.implicits._

// Define the schema using a case class.
// Note: Case classes in Scala 2.10 can support only up to 22 fields. To work around this limit,
// you can use custom classes that implement the Product interface.
case class Person(name: String, age: Int)

// Create an RDD of Person objects and register it as a table.
val people = sc.textFile("examples/src/main/resources/people.txt").map(_.split(",")).map(p => Person(p(0), p(1).trim.toInt)).toDF()
people.registerTempTable("people")

// SQL statements can be run by using the sql methods provided by sqlContext.
val teenagers = sqlContext.sql("SELECT name, age FROM people WHERE age >= 13 AND age <= 19")

// The results of SQL queries are DataFrames and support all the normal RDD operations.
// The columns of a row in the result can be accessed by field index:
teenagers.map(t => "Name: " + t(0)).collect().foreach(println)

// or by field name:
teenagers.map(t => "Name: " + t.getAs[String]("name")).collect().foreach(println)

// row.getValuesMap[T] retrieves multiple columns at once into a Map[String, T]
teenagers.map(_.getValuesMap[Any](List("name", "age"))).collect().foreach(println)
// Map("name" -> "Justin", "age" -> 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