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구조 인코딩 관련 용어이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관점에서

  • 자료 구조나 객체 등의 데이터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것을 Serialization
  • 이 바이트 스트림을 다시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것을 Deserialization

이라고 한다.

이렇게 Serialization을 하는 이유는

  • 파일, 버퍼 등에 저장하거나
  •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Deserialization을 하는 이유는

  • 파일, 버퍼 등에 저장했거나
  • 네트워크로 전달 받은 바이트 스트림을

다시 원 상태의 데이터로 원복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와 비슷한 용어로 RPC 메커니즘에서 사용하는 마샬링(marshalling), 언마샬링(unmarshalling)이 있다.

참고

  • http://www.pavv.co.kr/contest/
  • 기획서 접수 : 3/9 ~ 3/19
  • 애플리케이션 접수 : 4/1 ~ 6/10
  • 1차 심사 발표 : 6/18
  • 공개 투표(온라인/오프라인) : 6/19~6/27
  • 최종 심사 발표 : 6/28
  • C:\Windows\System32\drivers\etc

만약 hosts파일을 수정하고 싶다면 다른 디렉토리에서 편집하고 복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함.

  • F9를 누르면 다시 생김. 토글모드임.

'Resources > IT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 MSN 메신저 한글 입력 문제 해결방법  (0) 2010.03.30
삼성 앱스 컨테스트 2010  (0) 2010.03.15
[Windows7] hosts 파일위치  (0) 2010.03.10
실시간 검색 엔진 TOPSY  (0) 2010.02.16
CO-WORKING SPACE  (0) 2010.02.08
애플 iPad 소개 동영상  (0) 2010.01.28
Windows7 USB 부팅 디스크 만들기  (0) 2010.01.26

+ Recent posts